안녕하세요! 저는 여러분들의 고용보험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드리는 섬세한 블로거입니다. 한국에서는 사회보장보험으로 4대 보험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실업급여나 육아휴직수당 등을 지급하는 고용보험이 있답니다.
오늘은 2018년 고용보험요율에 대해 알아보는 방법과 함께 계산기 사용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더불어 자세한 설명과 함께 친절한 어투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가장먼저 직접 고용보험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것이 가장 빠른 해결책입니다. 주소는 길지 않으니 주소창에 직접 입력해도 됩니다.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메뉴 중 '고용보험제도'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나서 '고용보험료 안내'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이 부분에서 고용보험 요율이 나와있습니다. 직원 수, 근로자 인건비 등에 따라 요율이 상이하기 때문에 꼭 확인해주셔야 합니다. 일반 노동자의 경우, 실업급여를 위해 0.65%를 부담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바로 밑에에는 고용보험료 계산기가 있습니다. 여러분의 월급여액과 근로자 수를 입력하시면 자동으로 고용보험료를 계산해드립니다.
계산 결과에서는 근로자와 회사의 부담액이 따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우리는 근로자 부분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이번 글을 통해 2018년 고용보험 요율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습니다. 참고가 되셨기를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