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대구에서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들을 위해 시행되는 무임 교통카드 발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카드는 어르신들이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대구시에 거주하는 모든 어르신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럼 자세한 내용과 신청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무임 교통카드란?
무임 교통카드는 대구시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들에게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 카드는 대구 지하철과 시내버스는 물론, 경산 및 영천 지역의 버스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대구시는 이 제도를 통해 어르신들의 교통 복지를 향상시키고, 더 많은 사회 활동과 외출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신청 방법
무임 교통카드는 두 가지 방법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실물 카드와 모바일 카드입니다.
실물 카드 신청
- 신청 장소: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신청 요일: 생일에 따라 요일별 5부제가 시행됩니다.
- 월요일: 1·2월생
- 화요일: 3·4월생
- 수요일: 5·6·7월생
- 목요일: 8·9·10월생
- 금요일: 11·12월생
- 필요 서류: 신분증 (대리 신청 불가능)
- 발급 시간: 신청 즉시 발급

모바일 카드 신청
- 신청 방법: '어르신 통합 무임 교통카드' 앱 설치 후 회원가입
- 지원 기기: 안드로이드 기기 (아이폰은 지원되지 않음)
- 유의사항: 실물 카드와 모바일 카드 중 하나만 발급 가능하며, 중복 발급은 불가합니다.
무임승차 시행일 및 교통수단
무임승차는 2023년 7월 1일부터 시행되며, 대구 시내버스와 도시 철도, 경산·영천 지역 버스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매년 대상 연령이 변경되므로, 어르신들은 무임승차 가능 연령을 확인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2023년에는 시내버스는 75세 이상, 도시 철도는 65세 이상이 해당됩니다. 향후 연도별 대상 연령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도 |
시내버스 대상 연령 |
도시 철도 대상 연령 |
2023 |
75세 이상 |
65세 이상 |
2024 |
74세 이상 |
66세 이상 |
2025 |
73세 이상 |
67세 이상 |
2026 |
72세 이상 |
68세 이상 |
2027 |
71세 이상 |
69세 이상 |
2028 |
70세 이상 |
70세 이상 |

어르신들은 무료 이용 시작일을 잘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만 나이 계산 방법
만 나이는 다음의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 공식: 현재 연도 - 출생 연도 - (생일이 지났는지 여부) - 생일이 지났다면 계산된 나이가 만 나이이고,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계산된 나이에서 1을 뺀 값이 만 나이가 됩니다.

예를 들어, 1958년생 어르신의 경우 2023년에 만 나이는 생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대구의 무임 교통카드 발급 제도는 어르신들의 교통 복지를 확장하기 위한 중요한 노력입니다. 이를 통해 어르신들이 대중교통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고, 외출과 사회 활동에 더 많은 참여를 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행정복지센터나 모바일 앱을 통해 간편하게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이 카드를 활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댓글